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클라우드+]잡음 계속되는 NHN클라우드
    카테고리 없음 2022. 3. 10. 14:29

    클라우드 업계의 다양한 소식을 알기 쉽게 풀어서 전해드립니다.

     

    “K주식 클라스”(ID: shad****), “주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주느냐가 중요하지.”(ID: ymis****) 지난 3일 NHN이 상장한 자회사 주식의 현물배당이 가능하도록 정관 개정을 추진한다는 소식을 알린 기사에 달린 댓글들입니다.

    NHN은 오는 4월1일 클라우드 사업부를 물적분할해 NHN클라우드(가칭)를 설립하고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쪼개기 상장’이라는 꼬리표가 붙자, NHN은 주주환원 방침을 밝히면서 “성장의 과실을 나누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습니다만 소액투자자들의 반응은 냉담해 보입니다.

    “알짜배기 왜 쪼개나” 뿔난 개미들
     

    한게임에서 출발한 NHN 2013년 네이버에서 떨어져 나온 이후로 ‘탈(脫)게임’을 고수해왔습니다. 온라인·모바일 게임 외에도 클라우드서비스제공(CSP)·클라우드관리서비스(MSP) 사업, 간편결제 페이코(PAYCO) 등 다양한 분야로 가지를 뻗은 덕에 현재 매출 비중은 게임 25.57%, 결제·광고 41.75%, 클라우드·기타 32.68% 등으로 고루 분포돼 있습니다. 이 가운데서도 클라우드는 올해 하반기 흑자전환까지 기대할 정도로 가파른 상승세를 그려왔는데요. 잘 나가는 클라우드 사업부의 물적분할을 결정하면서 잡음이 빚어지게 됐습니다.

    회사의 특정 사업부를 분사해 별도 법인으로 설립하는 물적분할은 이른바 ‘개미투자자’들에게 악재(惡材)로 여겨집니다. 기존 주주들이 지분율에 따라 신설법인 주식을 나눠 가질 수 있는 인적분할과는 달리, 기존 회사 주주는 물적분할을 하면 자회사 주식을 배정 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 떼어낸 사업부가 상장하면 이는 모회사 주가 할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모회사 대주주에겐 득이 됩니다. 외부 투자를 쉽게 유치할 수 있고, 경영권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죠. 기업들의 ‘쪼개기 상장’을 두고 “소액주주 뒤통수를 치고, 대주주 배만 불린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지난해부터 기업들의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이 잇따르면서 기존 주주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여론이 악화되자 자회사를 ‘줄상장’시켰던 카카오마저 카카오모빌리티·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등의 상장 계획을 재검토하고 나섰죠. SK이노베이션은 지분 100% 자회사인 SK온의 기업공개(IPO)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선을 그었고, 현대건설도 현대엔지니어링 상장을 철회했습니다. 상장 계획이 없다고 딱 잘라 말한 직후엔 두 회사 주가 모두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쪼개기 상장’을 둘러싼 시장의 인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죠. 사실 해외에선 물적분할로 모·자회사가 동시상장하는 사례를 찾아보기 힘듭니다. 이 때문에 기업들의 거듭된 물적분할이 글로벌 투자자들에게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들도 쌓이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총알’ 장전하는 NHN

    작년 3월까진 NHN의 입장도 달랐습니다. 공식석상에서 “B2B 사업조직을 위한 ‘별도법인화’를 계획하지 않고 있다”면서 “NHN 본사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단언했죠. 그러니까 표면적으로는 불과 6개월여 만에 물적분할로 노선을 바꾼 겁니다. 나름의 이유들이 있습니다. 일단 ①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 등을 계기로 토종기업들이 성장을 노려볼 만한 ‘틈새시장’이 열리기 시작했고요. ②클라우드 산업 특성상 선(先)투자가 필요한데, ③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엔 물적분할이 용이하기 때문이었죠. 또 ④‘쪼개기 상장’으로 이익을 본 기업들이 늘어났습니다. NHN 관계자 역시 “(물적분할은) 동종업계들의 사례를 분석해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논란을 떠나 클라우드 사업부의 독립은 시기적절해 보입니다. 올해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최대 5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아마존웹서비스(AWS)·마이크로소프트(MS)·구글 등이 시장의 90% 이상을 쥐고 있지만, 중요한 숫자는 아닙니다. 국내 기업·기관의 더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속도 덕에 아직 성장 여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앞서 짚었듯,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1만9개에 달하는 공공 정보시스템을 100% 클라우드로 옮길 예정인데요. 공공부문은 외국계 기업에겐 진입장벽이 있다 보니 NHN·KT·네이버클라우드 등 토종기업들의 ‘먹거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성장성을 엿본 KT는 지난달 클라우드·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 부문을 떼어내 별도법인을 설립한다고 밝히기도 했죠.

    NHN은 올해 행정안전부 주도로 진행되는 클라우드 전환 사업 예산 2400억원 가운데 3분의 1에 해당하는 800억원을 따내는 게 목표입니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김해를 포함한 3개 지역에 IDC센터도 짓고 있죠. 그런데 여기에만 4년여 동안 3000억원 이상을 쏟아부어야 하니, ‘총알’ 확보가 시급합니다. NHN 관계자는 <블로터>에 “투자금 조달 등을 통해 신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성장을 가속화하는 데 인적분할보다 물적분할 방식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판단의 구체적인 근거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분사한 자회사가 투자도 잘 받고 매출도 올리면 자회사의 성장성이 반영돼 중장기적으로 ‘본체’의 기업가치가 올라가는 데도 도움이 될 겁니다. 그러나 물적분할에 앞서 NHN이 소액투자자들과 소통하고, 또 이들을 설득하려는 노력을 충분히 했는지에 대해선 물음표가 남네요. “책임경영을 위한 선택”, “자회사 성장의 과실을 주주들과 나누겠다” 등의 말로 주주환원에 대한 의지를 아무리 강조한들, 당장 바닥에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깨진 그릇이라도 맞추려면 소액주주들에게 제대로 된 ‘당근’을 제시하는 게 맞겠지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