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 2022] "중국 안 죽었다"… 샤오미·오포·아너 신제품 대거 공개
행사 기조연설 6곳 중 3곳이 중국 업체
화웨이 폰 공개 대신 '친환경' 테마부스
샤오미는 로봇 '사이버도그' 첫선 눈길
[서울경제]
3년만에 오프라인 개최한 ‘MWC 2022’에서도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와 통신업계의 공세는 계속됐다. 첫 기조연설에는 중국 3대 국영 통신사 대표가 나서며 세를 과시했고, 샤오미·오포·아너 등 주요 업체들은 속속 신제품을 공개하며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렸다.
28일(현지 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MWC 2022 첫 기조연설에는 닉 리드 보다폰 대표 등 글로벌 주요 통신사 6곳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했다. 그 중 절반인 3곳이 차이나텔레콤·차이나모바일·차이나유니콤 등 중국 통신사였다. MWC 기조연설 절반을 중국 통신사가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조연설 주제는 ‘신기술 패권’으로, 디지털 전환에 따른 AI·가상화폐·메타버스 등 차세대 기술과 기후 위기와 디지털 격차 등을 논했다.
전시장 전역에서도 중국의 ‘복귀전’이 계속됐다. 매년 MWC에서 최대 규모 부스를 꾸리던 화웨이는 스마트폰 신제품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친환경을 테마로 제 1전시관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초대형 부스를 꾸미고 기업간거래(B2B) 네트워크 기술력을 뽐냈다.
샤오미는 299 유로에 120Hz 주사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포코X4 프로 5G를 공개했다. 샤오미 자회사 리얼미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 ‘GT2’를 발표하기도 했다. 스마트폰 뿐 아니라 개발중인 로봇 ‘사이버도그’를 첫 시연해 눈길을 끌었다. 이 로봇은 현대자동차가 인수한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과 비슷한 모양새를 갖췄다. 출시 시점은 미정이고 보스턴 다이내믹스 제품보다 전반적인 성능은 떨어진다. 하지만 가격 경쟁력이 압도적이다. 1500달러가 목표인 저렴한 가격이 장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