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UAM 상용화 준비…볼로콥터와 맞손
카카오모빌리티는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기체 제조사 볼로콥터와 한국형 UAM 서비스 모델 고도화 및 상용화 준비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3일 밝혔다.
UAM은 과밀화된 도심의 교통 혼잡을 해소하고 이동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음이 적고 전기·수소전지 등 친환경 연료 동력으로 운영돼 차세대 미래 모빌리티 기술로 손꼽힌다.
카카오모빌리티와 볼로콥터는 지난 7월부터 ▲지상교통 인프라 환경 분석을 통한 ‘국내 UAM 서비스 시장 수요 및 규모 추정’ ▲실제 이동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UAM 가망 경로 및 버티포트(UAM 수직 이착륙 시설) 위치 선정 ▲한국 내 비즈니스 및 서비스 모델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 ▲UAM 기체 및 서비스 운영에 대한 ‘안전 및 인증 관련 평가 기준’ 등 서비스 상용화에 필요한 실질적인 요건을 공동 연구해 왔다.
두 회사는 이달말까지 공동연구를 마무리하고 내년 2월까지 연구 결과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시장에 최적화된 UAM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 상용화 준비 작업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카카오 T' 플랫폼 운영 경험과 자율주행 기술, 공간정보·지도 기술 등을 총동원해 UAM 서비스를 이용할 때 출발지-버티포트1-버티포트2-목적지까지 전체 경로에서 앱 하나만으로 끊김 없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협업을 통해 사람은 물론 사물의 이동까지 고려, 지상과 상공을 포괄하는 멀티 모달(Multi-Modal) 모빌리티 서비스가 한국 내 이동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로 구현될 수 있도록 고도화된 기술을 접목해 나갈 예정이다.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전세계적으로 메가시티화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2025년부터 UAM 시장 역시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볼로콥터와 한국 시장에 최적화된 UAM 서비스를 구현하는 한편, K-UAM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